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의 분류와 시장 경보 제도

by 옆차기왕 2024. 4. 3.
반응형

주식을 보다 보면 현대차,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와 같이 동일한 기업인데  종목의 이름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또 어떤 종목의 경우에는 종목 이름 앞부분에 투자주의와 같은 특별한 이름표가 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주식 분류와 시장 경보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의 분류


첫째, 보통주는 흔히 사고파는 일반 주식입니다.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가지고 있고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우선주는 보통주의 이름 뒤에 '우'가 붙어 있는 주식입니다. 이 주식은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금을 조금 더 받

         을 수 있는 주식입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셋째, 신형 우선주는 기존 우선주를 더 업그레이드한 개념입니다. 배당금을 조금 더 주는 것으로는 투자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혜택을 조금 더 얹은 것으로, 어떤 혜택이냐에 따라 이름이 조금씩 다릅니다. (e.x. 현대차3우B)

    -. 숫자는 신형 우선주가 발행된 순서를 의미합니다. 가령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에서는 현대차우가

       가장 먼저 발행된 우선주이고 그다음이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순서로 발행된 것입니다. 
    -. B는 BOND(채권)를 의미하는 것으로 채권과 비슷하게 일정 시기마다 일정 배당을 주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기존

       우선주보다 조금 더 많은 배당금을 줍니다. 


넷째, 전환 우선주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가진 것으로 현재 한국의 주식시장에는 CJ4우

        (전환), 아모레G3우, DL이앤씨2우(전환) 종목이 있습니다. 

 

거래소 시장 경보 제도


거래소 시장경보 제도는 짧은 시간 갑자기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등 투기적이거나 불공정 거래 개연성이 있는 종목 

또는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락 한 종목에 대해 경보하는 제도입니다. 이것은 투자주의종목, 투자경고종목, 투자위험

종목 3단계 조치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투자 주의는 주가의 움직임이 수상할 때 거래소가 가장 먼저 붙이는 이름표입니다. 보통 주가가 15일 전날의 종가

         보다 75% 이상 오르고 몇몇 계좌가 해당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하는 경우 지정됩니다. 


둘째, 투자 경고는 5일 전보다 주가가 75% 넘게 오르고 당일 종가가 20일 전보다 150% 오를 때 지정됩니다.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되면 거래소는 주가를 진정시키기 위해 빚을 내서 주식을 사지 못하게 합니다. (신용거래 금지)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했는데도 주가가 계속 오르면 하루 동안 주식을 사고팔지 못하도록 거래 정지하기도 합

         니다. (특정일의 2일간 주식 상승률이 40% 이상인 종목에 대해 그다음 매매거래일 1일간 매매거래 정지)


셋째, 투자 위험은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됐는데도 3일 뒤 주가가 45% 이상 오르는 등 주가가 멈추지 않고 오를 때 지

        정 되며, 지정 당일 매매거래 중지됩니다. 이건 진짜 마지막으로 투자자에게 주의를 주는 것이므로 피해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주식 종목 이름에 붙어 있는 문구의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보통주냐 우선주냐는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 듯하고, 시장 경보 제도에 대해서는 투자위험을 사전에 고지하는 것이므로 무시하시지 마시고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칫 작전 세력에게 당해 큰 손실을 보실 수도 있으니 안전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