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

걱정 없는 노후를 위해 얼마가 필요할까? 노후생활비 예상 나이가 들어가면서 은퇴에 대한 걱정이 많이 듭니다. 누구나 은퇴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고 노후에도 돈은 필요합니다. 저도 지금까지는 내게 실제로 필요한 노후생활비는 얼마인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일할 수 있을지 막막할 때면 노후생활비에 대한 궁금증은 더 커지지만, "매달 500만 원은 필요", "필요 현금자산 10억 원" 등 여러 언론 매체가 제시하는 숫자를 보다 보면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나의 상황을 기준으로 도출할 수 있는 노후생활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노후생활비 10억당장 손에 쥘 수 있는 현금자산의 여유가 없고,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했거나 했어도 대출금이 많다면 "노후 준비 자금은 10억 원"이라는 말은 남의 이야기일.. 2024. 5. 27.
국민연금 개혁의 필요성과 개혁 방안 한국인의 노후를 어느 정도 보장해 주는 것은 국민연금입니다. 하지만 저출산 문제가 너무나 심각해지면서 인구 소멸을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국민연금이 심각한 위기에 빠졌습니다. 오늘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국민연금 개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개혁의 필요성1-1. 합계출산율 저하 작년 4분기에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초로 0.6명대를 기록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생애 동안 낳는 아이 수를 의미합니다. 합계출산율 0.6명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100쌍의 부부가 평생 60명의 아이를 낳습니다. 그럼 남녀 성비 5:5로 가정하면 남성 30명, 여성 30명이 되는데, 이들은 또 18명의 아이를 낳게 됩니다. 이런 단순계산으로 해보면 불과 두 세대만에 인구가 200명에서 18.. 2024. 5. 9.
PER이란? 합리적인 활용 방법 주식 투자는 기업의 가치와 미래 성장 기대감에 대한 투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 파악이 중요하고 이를 나타내는 몇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현재 주식시장에서 어떤 기업의 성장을 얼마나 기대하고 있는지, 또 주가는 적정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P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ER이란?PER은 보통 '퍼'라고 불리며 기업의 가치와 적정 주가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주가 수익 비율(Price Earning Ratio)이라고 합니다. 1-1. PER의 정의 PER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 PER은 현재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것은 해당 기업이 얻은 순이익 1원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되고 있느냐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1-2. PER.. 2024. 4. 30.
금융소득이란 무엇인가? 절세팁 투자라는 것은 큰돈을 잃을 수도, 얻을 수도 있는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그리고 수익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세금이라는 것이 발생합니다. 투자도 잘해야겠지만 세금에 대해서도 반드시 신경을 써야 합니다. 오늘은 투자에 대해서, 그중에서도 투자를 통해 수익이 났을 때 꼭 알아야 하는 절세팁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융소득이란 무엇인가? 1-1. 금융소득의 정의 보통 투자를 하게 되면 월급이나 사업소득의 일부를 예적금에 넣거나 주식, 채권에 투자해서 배당, 이자 소득을 올리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이렇게 금융투자로 얻은 소득을 금융소득이라고 하는데 세금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자칫 안 나가도 되는 돈을 지불하게 됩니다. 금융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말하며, 이자소득은 증권이나 예적.. 2024.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