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 이야기

ISA란 무엇인가? 장단점 활용 방법

by 옆차기왕 2024. 4. 11.
반응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일명 '만능통장'으로 불리며, 하나의 계좌로 다양한 금융 상품을 운용하면서 절세 혜택

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정부가 저소득층과 중산층이 장기적으로 재산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노후를 

위한 연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금융 상품에 세금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저축과 투자를 장려하려는 목적입니다. 

오늘은 ISA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SA란 무엇인가?

보통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보통 국내는 절대 장기투자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라는 판단 하에 국내 투자는 중단기적

으로만 생각하고 장기투자를 한다면 미국 주식시장을 생각합니다. 따라서 노후를 위한 장기투자는 미국지수 관련 상품

이나 미국 성장개별주식을 매수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이에 투자자 친화적인 자본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 

개선 중 하나로 개인종합자산관리제도(ISA)의 납입 한도와 비과세 혜택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처럼 중장기적

으로 우상향 하는 자본시장을 형성하여 국민들이 금융자산 형성에 기여하고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투자처로의 이탈을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1-1. ISA의 정의

ISA는 정 금융상품이 아니라 계좌 개념으로, 해당 계좌 내에서 다양한 금융상품 (국내주식, 예적금, 펀드, ETF, ELS 등)을 담아서 중개형, 신탁형, 일임형 3가지 중 본인 투자 성향에 맞게 상품을 관리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1-2. ISA의 가입 자격
만 19세 이상 소득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만 15세~19세도 가능합니다. 
①서민형 : 직전 연도 무소득자, 총 급여액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3천8백만 원 이하 사업자/농어민
                 (가입 이후 소득 증대 시에도 만기 시까지 서민형 지속 적용)
②일반형 : 위 조건에서 벗어난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 (3년 이내 이자배당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해 금융소득종합

                 과세 대상이 되는 경우 제외, 향후 허용 방침이나 혜택이 다름)

 

1-3. ISA의 한도 기간
납입 한도는 연간 2천만 원, 5년 총 한도 1억 원까지 가능(연간 4천만 원, 총 2억 원까지 확대될 예정)하며, 연간 한도를 못 채웠다면 다음 해로 그 한도가 이월됩니다. 최소 가입 기간은 3년이며, 이 기간 동안은 의무 가입 기간이기 때문에 꼭 지켜주셔야 합니다. 

 

1-4. ISA의 종류
모든 금융사 통틀어 1인 1 계좌만 만들 수 있고 일임형, 신탁형, 중개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ISA_종류


① 일임형 : 금융사 투자 전문가에게 위임하는 방식

    -. 가입자의 지시가 없어도 분기별로 투자된 자산의 수익성과 안전성을 평가해 자산 재조정

    -. 가입자는 해당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상품을 교체할 수 없음

   ★ 편드, ETF 등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위험도가 낮은 편이나 예금으로 운영되지 않아서 원금 손실 위험이 있음

        (위험성향별 포트폴리오 제시, 리밸런싱, 자산 처분/취득 시 사전통지 의무 有)
 ② 신탁형 : 가입자가 계좌에 담을 금융 상품을 직접 선택하고 투자 규모를 결정 (주식형 펀드 30%, 채권형 펀드 30%,

                    ELS 20%, 은행 정기예금 20% 등)
     -. 금융기관은 가입자의 지시대로 상품을 편입, 교체 (금융기관이 임의로 상품 교체 불가
     -. 금융기관의 포트폴리오 제시 불가(추천상품 리스트 제공), 리밸런싱 의무 없음, 투자자 통지 의무 없음
  ③ (투자) 중개형은 개인이 직접 운용하며 국내 상장 주식, 펀드, ETF, ETN, ELS, 리츠, 채권 등 투자 (수수료 최소화,

      예적금 불가)

 

2. ISA의 장단점 및 활용 방법

ISA의 장단점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1. ISA의 장점
 ①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 담아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혜택도 있는 게 큰 장점
 ②수익과 손실을 합쳐서 산출된 금액에 대해서만 과세하는 손익통산 적용에 따른 절세 효과 
     -. 편드에서 600만 원 수익, 국내 주식에서 200만 원 손실일 경우, 일반 계좌에서는 편드 600만 원 수익에 대한 세금

        을 매기고, 국내 주식 200만 원 손실에 대한 세금은 안 매김. ISA 계좌에서는 손익통산을 하기 때문에 순소득 400만

        원에 대한 세금을 매기게 됨
 ③ 비과세 한도는 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 (일반형 500만 원, 서민형 1,000만 원까지 확대될 예정)
     -. 투자 수익에 대해 200만 원(서민형 400만 원)까지는 세금이 없고,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일반 세율 15.4%가

        아닌  9.9%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가 되면서 종합소득세 계산 때 합산되지 않고 건강보험료 산정에도 포함되지

        않음)


 ※ 절세 효과 예시 (단위 : 원)

ISA_절세_효과_예시

   

 

 

 

 

 

 

 

 

2-2. ISA의 단점
① 의무 납입기간 3년 충족 필수! 중도 계좌 해지 시 세제 혜택 적용받은 금액에 대해 추징
    -. 납입 원금에 대해 중도 인출 횟수 제한 없이 가능하지만 그 금액만큼 ISA 납입한도 감소 (현금 천만 원 인출했다면

       납입 최대한도는 9천만 원으로 축소됨, 중도 인출금은 다시 납입할 수 없음)
    -. 납입 원금에 대해 중도 인출 가능하지만 수익금에 대해서는 중도 인출 불가, 3년 유지 필요 (1천만 원을 넣어 1백만 

       원의 이익을 얻었다면 계좌 잔고는 1,100만 원이지만 출금 가능한 금액은 1,000만 원)
② 미국 주식, 미국 ETF 직접 투자 불가 (단, 국내 상장된 미국 관련 ETF는 투자 가능)

2-3. ISA의 활용 방법
① 의무 납입기간 3년 후 해지, 바로 재가입 패턴 반복 : 최대 8천만 원에 대해 세제 혜택 받기, 비과세 한도 초과에 대한

     이자는 9.9% 저율 세율로 분리과세
② 현금화한 ISA 3년 누적 투자금으로 연금 상품 재투자 (연금펀드 ETF+IRP) 중복 세제 혜택 받기
     (단, 가입 3년 이후 해지 시, 60일 이내에 ISA 계좌 잔액 전부 또는 일부를 연금저축 계좌+퇴직연금 계좌로 납입하는

      경우 해당 금액의 10%를 300만 원 한도로 중복 세액 공제 가능)

 

글을 마치며

해외 증시에 직접 투자하는 사람에겐 불필요한 계좌겠지만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및 국내 주식도 함께 

투자하고 있거나 배당주에 관심 많은 분들이라면 ISA를 이용해 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 단점을 상쇄할

만큼 우수한 절세 효과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현재까지 가장 많이 가입하는 것은 증권사 중개형 ISA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해서 ISA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이해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