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2

조선 태종의 즉위, 업적 및 소회 조선 태종의 즉위 과정과 업적 태조 이성계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던 이방원은 정몽주를 제거하여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하지만 태조 이성계는 둘째 부인인 신덕왕후 강 씨의 소생인 여덟 번째 아들 방석을 세자로 결정하였다. 이에 대해 이방원 등 첫째 부인 신의왕후 한 씨의 소생들의 불만이 높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와중에 1398년 정도전 일파에 의하여 요동 정벌론이 대두되었다. 군사력 확보를 위해 사병이 혁파되어야 하며, 병권은 국가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다섯 번째 왕자인 이방원은 자신의 세력 기반인 사병이 혁파될 위기에 놓이자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세자 방석을 보필하고 있던 정도전, 남은 등을 제거하고, 세자 방석과 일곱째 .. 2023. 1. 5.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조선 개국 고려말기의 어지러운 정국과 조선의 태동 고려 말 중국 명나라의 무리한 공물 요구 및 철령 이북 땅을 차지하겠다고 고려를 위협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명은 철령 이북 땅이 원의 소유였으며 당연히 원을 몰아낸 명의 소유여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는 명이 고려를 속국으로 삼는다는 의도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 건국 세력들은 새로운 왕조 개창이라는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대외적으로는 친명 정책을 추진하며 내부적으로는 권문세족 중심의 권력 구조를 개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혁 성향의 신진 사대부들은 외적과의 전쟁보다는 국내 문제 해결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토지제도 정비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보수 성향의 기성 관료들은 강력한 무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북진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