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

타인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이유, 부작용, 대처방안 및 성격과의 상관관계 나는 왜 타인을 그렇게 의식할까? 아무래도 부족한 가정에서 자라다 보니 열등감 같은 게 있었던 것 같다. 아주 어릴 때는 몰랐는데 청소년기에는 과도한 열등감에 앞에 나서기를 싫어했다. 지나고 보면 참 모자란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 요즘 판타지 소설처럼 과거로 환생한다면 많은 것을 바꿀 수 있을 텐데 그건 꿈이겠지.... 요즘 들어서 이와 같은 의식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든다. 이에 타인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태도에 대해 말해보자. 타인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이유 일단, 다른 사람들을 과도하게 의식을 많이 하는 이유는 평판이라는 게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때문이다. 우리는 대개 다른 사람들의 평가와 인정을 받기를 원하며, 이를 통해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아개발을 할 수.. 2023. 2. 20.
열등감을 해소하는 방법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가끔씩 느끼는 감정입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느끼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해야 합니다. 열등감을 해소하는 방법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기 :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나 자존감 저하는 열등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인정하는 것은 열등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기: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자신의 단점만 보이게 됩니다. 자신만의 개성과 강점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자기 이야기 하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를 하면 자존감이 향상되고 열등감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하루 중 자신에게 좋은 일이 있었다면, 이를 인지하고 자신에게 칭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 2023. 2. 19.
조선 태종의 즉위, 업적 및 소회 조선 태종의 즉위 과정과 업적 태조 이성계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던 이방원은 정몽주를 제거하여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하지만 태조 이성계는 둘째 부인인 신덕왕후 강 씨의 소생인 여덟 번째 아들 방석을 세자로 결정하였다. 이에 대해 이방원 등 첫째 부인 신의왕후 한 씨의 소생들의 불만이 높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와중에 1398년 정도전 일파에 의하여 요동 정벌론이 대두되었다. 군사력 확보를 위해 사병이 혁파되어야 하며, 병권은 국가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다섯 번째 왕자인 이방원은 자신의 세력 기반인 사병이 혁파될 위기에 놓이자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세자 방석을 보필하고 있던 정도전, 남은 등을 제거하고, 세자 방석과 일곱째 .. 2023. 1. 5.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조선 개국 고려말기의 어지러운 정국과 조선의 태동 고려 말 중국 명나라의 무리한 공물 요구 및 철령 이북 땅을 차지하겠다고 고려를 위협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명은 철령 이북 땅이 원의 소유였으며 당연히 원을 몰아낸 명의 소유여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는 명이 고려를 속국으로 삼는다는 의도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 건국 세력들은 새로운 왕조 개창이라는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대외적으로는 친명 정책을 추진하며 내부적으로는 권문세족 중심의 권력 구조를 개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혁 성향의 신진 사대부들은 외적과의 전쟁보다는 국내 문제 해결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토지제도 정비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보수 성향의 기성 관료들은 강력한 무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북진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23. 1. 4.